스마트팜시스템
▣ SMART FARM
비닐하우스, 축사, 과수원 등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·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·관리할 수 있는 농장.
▣ SMART FARM 현황
| 시장 확대 국내/외 스마트팜 시장의 확대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은 2020년 138억 달러에서 2025년 220억 달러로 성장 전망 (연평균 9.8%↑) 우리나라는 2020년 2.4억 달러에서 2025년 4.9억 달러로 급성장 전망 (연평균 15.5%↑) | |
| 성장 기회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 우리나라 기준으로 스마트팜 보급률은 현재 전체 경지의 1% 정도에 머무름. 나머지 99%에 스마트팜을 도입할 수 있는 무궁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. | |
| 재정 지원 스마트팜 자금대출 지원 중 농협은행은 2017년부터‘NH스마트팜론’등 스마트팜 자금대출로 연간 약 900억원을 지원중이며, 2025년까지 약 9,0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. | |
| 정부 지원 스마트팜 관련 정부 지원산업 진행 중 스마트팜 청년 농민 육성등 정부 뿐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매년 스마트팜 관련 기기, 부지 등에 지원사업을 하고 있음. |
▣ 태양열 집열기와 SMART FARM
· 기존의 보일러를 이용한 온실
· 태양열집열기를 이용한 스마트팜 (냉난방)
① 태양열집열기에서 태양열을 집열하여 냉난방 공조기(냉동기 포함)로 전달.
② 공조기를 통해 온풍과 냉풍을 공급하여 사계절 온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.
▣ 기대 효과
|
|
|
연료사용량 감소 (연료비 절감) | 탄소배출량 감소 (정부 시책 부응) | 친환경적 영농 (기업/농산품 이미지 제고) |
▣ 금철스마트팜 시공사례
|
|
집열부로 열이 정확히 모인 모습 |
프레넬렌즈로 들어와 집열부로 모이는 모습 |
|
|
|
태양열집열기로 냉난방 시스템을 활용하여 키운 작물들 |
스마트팜용 식물재배 LED |
설치 모습 |